일어교육 목표
일본어 교육의 새로운 이론과 교수법을 학습시키는 동시에 이를 현장에서 활용하고 적용시킬 수 있는 일본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겸비한 창조적인 능력과 지도자의 자질을 갖춘 일본어 교사를 재교육한다.
일어교육 전공주임교수
전공 | 교수명 | 사진 | 전화번호 | |
---|---|---|---|---|
일어교육 | 김 수 미 |
![]() |
ssumi5620@korea.ac.kr |
일어교육 이수과목표
구분 | 학수번호 | 교과목명 | 시간 | 학점 |
---|---|---|---|---|
전공필수 | EJL607 | 일본어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 2 | 2 |
EJL610 | 일본어교과교육론 | 2 | 2 | |
EJL615 | 일본문학교육론 | 2 | 2 | |
일반필수 | EDU002 | 연구지도(4학기) | 2 | 2 |
EDU002 | 연구지도(5학기) | 2 | 2 | |
전공선택 | EJL540 | 교사와학생을위한일본어평가 | 2 | 2 |
EJL541 | 미래세대를위한일본어교육과정 | 2 | 2 | |
EJL543 | 일본문학의이해 | 2 | 2 | |
EJL545 | 현장교육을위한일본현대사 | 2 | 2 | |
EJL547 | 교사를위한일본어교육연구 Ⅰ | 2 | 2 | |
EJL548 | 교사를위한일본어교육연구 Ⅱ | 2 | 2 | |
EJL549 | AI와일본어교육 | 2 | 2 | |
EJL550 | 학교현장을위한제2언어습득론 | 2 | 2 | |
EJL551 | 코퍼스를이용한일본어교육 | 2 | 2 | |
EJL552 | 현장탐방일본문학·문화 | 2 | 2 | |
EJL553 | 미래일본문학교육과문화콘텐츠 | 2 | 2 | |
EJL554 | 디지털과일본문학교육 | 2 | 2 | |
EJL555 | 세계시민교육을위한일본사회론 | 2 | 2 | |
EJL558 | 일본어학개론 | 2 | 2 | |
EJL564 | 일본어문법교육 | 2 | 2 | |
EJL565 | 일본어회화지도 | 2 | 2 | |
EJL566 | 일본어작문지도 | 2 | 2 | |
EJL567 | 일본어독해지도 | 2 | 2 | |
EJL586 | 일본어학사교육론 | 2 | 2 | |
EJL587 | 일본문화교육론 | 2 | 2 | |
EJL588 | 일본문화지도 | 2 | 2 | |
EJL589 | 일본문학지도 | 2 | 2 | |
EJL590 | 일본문학개론 | 2 | 2 | |
EJL594 | 일본문학사교육 | 2 | 2 | |
EJL705 | 일본어교과논리 및 논술 | 2 | 2 | |
ESN501 | 현장중심미래교육세미나(전공선택 인정) | 2 | 2 |
일어교육전공 - Japanese Language Education
EJL 607 일본어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 Research on Teaching Materials of the Japanese Language and Its Teaching Methods [2]
일본어 교재의 제문제와 여러 가지 교수법에 대하여 개괄해 본다.
EJL 610 일본어교과교육론 - Introduction to Japanese Education [2]
일본어 교육의 기초 과목으로 일본어 교육의 제반 문제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는데 주안점을 둔다.
EJL 615 일본문학교육론 - Topics on the Education of Japanese Literntere [2]
일본문학을 어떻게 교육시켜 갈 것인지에 대해 고찰한다.
EJL 540 교사와학생을위한일본어평가 - Japanese Language Assessment for Teachers and Students [2]
일본어의 평가 이론 및 방법에 대하여 개괄한다.
EJL 541 미래세대를위한일본어교육과정 - Theories of Curriculum for Future Generation [2]
일본어 교육현장의 교육과정을 수집 분석 등을 통하여 일본어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넓힌다.
EJL 543 일본문학의이해 - Comprehension of Japanese Literature [2]
일본고전문학작품, 근현대문학작품을 읽고 일본문학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EJL 545 현장교육을위한일본현대사 - Modern Japanese History for Field Education [2]
일본의 역사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일본 사회의 흐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넓힌다.
EJL 547 교사를위한일본어교육연구Ⅰ - Japanese Language Education Research for Teachers Ⅰ[2]
일어교육의 여러 문제들을 연구하는 데에 유효한 다양한 연구방법론에 대해 고찰한다.
EJL 548 교사를위한일본어교육연구Ⅱ- Japanese Language Education Research for Teachers Ⅱ[2]
일어교육의 여러 문제들을 연구하는 데에 유효한 다양한 연구방법론에 대해 고찰한다.
EJL 549 AI와일본어교육 - AI and Japanese Language Education [2]
일본어 학습을 위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하는 방법을 탐구하며, 일본어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습득한다.
EJL 550 학교현장을위한제2언어습득론 -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ory for School Settings [2]
학교 현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일본어 제2언어습득 이론을 기반으로 일본어학습자의 언어실태를 파악하고 고찰한다.
EJL 551 코퍼스를이용한일본어교육 - Japanese Language Education using Corpus [2]
코퍼스를 사용하는 방법을 익혀 현장의 일본어 교육에서 코퍼스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EJL 552 현장탐방일본문학·문화 - Field Trip of Japanese Literature and Culture [2]
일본문학작품을 감상하고 그 시대배경과 문화가 남아 있는 현장을 탐방한다.
EJL 553 미래일본문학교육과문화콘텐츠 - Future Japanese Literature Education and Cultural Contents [2]
일본문학작품을 애니메이션, 영화, 미디어 등 문화콘텐츠와 관련하여 학습하고 미래 문학교육에 있어서의 활용법 등을 살펴본다.
EJL 555 세계시민교육을위한일본사회론 - Japanese Society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2]
세계시민교육이란 문맥에서 일본사회의 특징 및 현안을 이해하고 그 응용력을 기른다.
EJL 558 일본어학개론 - Introduction to Japanese Linguistics [2]
일본어 교육현장의 교육과정을 수집 분석 등을 통하여 일본어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넓힌다.
EJL 564 일본어 문법교육 - Teaching Japanese Grammar [2]
일본어 문법교육의 제문제 및 지도법에 대하여 고찰해 본다.
EJL 565 일본어 회화지도 - Teaching Japanese Conversation [2]
일본어 회화를 지도하는 방법에 대하여 고찰한다.
EJL 566 일본어 작문지도 - Teaching Japanese Writing [2]
일본어 작문을 지도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괄한다.
EJL 567 일본어 독해지도 - Teaching Japanese Reading Comprehension [2]
일본어 독해를 지도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괄한다.
EJL 586 일본어학사교육론 - Topics on the Education of History of Japanese Linguistics [2]
일본어학의 흐름과 변화를 어떻게 교육시켜 갈 것인지를 고찰한다.
EJL 587 일본문화교육론 - Topics on the Education of Japanese Culture [2]
일본문화를 어떻게 교육시켜 갈 것인지를 고찰한다.
EJL 588 일본문화지도 - Guidance on Japanese Culture [2]
일본문화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주요 테마를 선정하여 일본문화의 구조와 본질을 파악·이해한다.
EJL 589 일본문학지도 - Guidance on Japanese Literature [2]
일본문학을 시대별 장르별로 고찰하고 대표 작가와 작품을 연구·분석한다.
EJL 590 일본문학개론 - Introduction to Japanese Literature [2]
일본문학의 배경을 이루는 역사, 사회, 종교, 사상 등과의 관계를 심도 있게 고찰한다.
EJL 705 일본어교과 논리 및 논술 - Japanese Logic and Discourse [2]
일본어로 된 문장의 논리를 파악하고, 그에 관한 나름의 생각을 논리 정연하게 논술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데 수업목적을 둔다.
ESN 501 현장중심미래교육세미나 - Field-Based Future Education [2]
AI와 디지털로 대변되는 미래교육은 교수학습방법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예비교원은 변화하는 다양한 교육상황에 맞게 디지털 역량 및 소통 능력 그리고 문제해결능력을 신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협동학습 및 PBL수업을 기반으로 운영되며 디지털 역량과 소통의 다양성(연결), 포용, 미래교육 동기모형(디자인)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교육·철학·심리·상담에 걸친 융·복합 세미나 수업이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