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QUICK MENU
  • 사이트맵
  • 고려대학교
  • KUPID

전공소개



 

다양성과학습및행동코칭

학습자 개인과 그를 둘러싼 조직이 지닌 문화적·사회적·심리적 다양성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포용적 교육, 상담, 및 코칭을 이론과 실제에서 탐구하고 실천할 수 있는 전문성을 함양한다.

다양성과학습및행동코칭 전공주임교수
전공 교수명 사진 E-mail 전화번호
다양성과학습및행동코칭 이보라 boralee117@korea.ac.kr  
다양성과학습및행동코칭 이수과목표
가정교육과 이수과목표
구분 학수번호 교과목명 시간 학점
전공필수 EDL 다양한 학습자를 위한 이론과 실제 2 2
EDL 모두를 위한 교육: 차별화 교수와 보편적 학습설계를 중심으로 2 2
전공선택필수 EDL 연구방법론 (논문중심과정 필수) 2 2
EDL 프로젝트 (학점중심과정 필수) 2 2
일반필수 EDU002 연구지도(4학기) 2 2
EDU002 연구지도(5학기) 2 2
전공선택 EDL 능동적 학습자와 초인지 학습전략 2 2
EDL 읽기·쓰기학습전략과 멘토링 2 2
EDL 사회·과학 교과 학습전략과 멘토링 2 2
EDL 수학 학습전략과 멘토링 2 2
EDL 학업 및 정서 코칭 2 2
EDL 진로 및 진학 코칭 2 2
EDL 사회정서발달이론 2 2
EDL 청소년기 사회정서학습과 긍정적 발달 (Social-Emotional Learning and Positive Youth Development in Adolescence) 2 2
EDL 교과 연계 사회정서학습 2 2
EDL 문학 기반 사회 정서 학습 2 2
EDL 통합체육활동 지도 2 2
EDL 사회 정서 조절 멘토링 2 2
EDL 다양한 학습자를 위한 지속가능한 생활 기술 (Sustainable Life Skills for Diverse Learners) 2 2
EDL 학생 행동 이해와 행동 지원 2 2
EDL 세계시민과 지속가능한 삶의 실천 (Global Citizen and Sustainable Living Practices) 2 2
EDL 긍정적 행동지원과 기능적행동분석 2 2
EDL 스포츠 심리기술과 체력단련 2 2
EDL 행동지원 멘토링 2 2
EDL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 (Culturally Relevant Pedagogy) 2 2
EDL 다문화 텍스트를 활용한 교수법과 연구 2 2
EDL 다문화화하는 교실과 역사교육 2 2
EDL 다문화 사회와 영어교육 2 2
EDL 다문화 사회에서의 스포츠 2 2
EDL 다문화 프로젝트 2 2
EDL 초기(Early) 읽기·쓰기 기초문해력 교수 2 2
EDL 초기 읽기·쓰기 능력의 진단 및 지도 2 2
EDL 디지털 리터러시와 AI (Digital Literacy and AI) 2 2
EDL 문학텍스트 활용 기초학력 교수 2 2
EDL 다양한 학습자를 위한 기초 수리력 지도 2 2
EDL 디지털 미디어와 역사 리터러시 (Digital Media and Historical Literacy) 2 2

다양성과학습및행동코칭전공 - Diversity, Learning, and Behavior Coaching

다양한 학습자를 위한 이론과 실제 - Theory and Practice for Diverse Learners
다양한 배경, 특성, 요구를 가진 학습자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실제 교수 전략을 통합적으로 다룬다. 학습장애, 정서행동장애, 다문화 배경, 학습에 어려움을 가진 학생등을 포괄하여 교육적 지원 방안을 탐구한다. 교사는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

EDL 모두를 위한 교육: 차별화 교수와 보편적 학습설계를 중심으로 - Education for All: Differentiated Instruction an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모든 학습자의 다양성과 요구를 존중하는 포용적 교육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차별화 교수법(Differentiated Instruction)과 보편적 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의 이론과 실제를 통합적으로 탐구한다. 학습자 간의 인지적, 정서적, 사회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육과정, 교수전략, 평가, 학습환경을 유연하게 조정하는 실천적 역량을 기른다. 현장 교사, 예비교사, 특수교육 및 일반교육 전문가 모두가 함께 학습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 잇으며, 특수교육, 다문화교육, 기초학력지원, 행동지원, AI 기반 수업 설계등 다양한 영역과의 연계도 강조된다.

EDL 연구방법론 (논문중심과정 필수) - Research Methodology (Required for thesis track students)
논문작성을 위한 기초 지식과 연구 방법론 습득을 목표로 한다. 연구 문제 설정, 연구 설계, 자료 수집 및 분석, 연구 윤리 등을 포함한다.

EDL 프로젝트 (학점중심과정 필수) - Capstone project (Required for course-credit track)
전공에서 배운 이론가 실제를 바탕으로, 학습자 맞춤형 코칭 모델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개인 또는 팀 프로젝트를 통해 다양한 학습자의 특성과 요구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코칭 전략 및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실행한다.

EDL 능동적 학습자와 초인지 학습전략 - Active Learners and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ies
학습자 스스로 학습과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돕는 자기조절학습, 메타인지 전략을 중심으로 다양한 학습 전략을 탐구한다. 학습지원이 필요한 학생의 능동적 학습자 전환을 목표로 교수전략을 제시한다. 학습의 과정에서 초인지를 활용하여 학습에 도움이 되는 전략들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방법을 다룬다. 자기관리, 시간조절, 과제 관리 등 자기주도적 학습 실행력을 높이는 전략을 다룬다. ADHD, 경계선 지능, 정서행동장애 학생 등을 위한 학습 지원이 필요한 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적용을 설계한다.

EDL 읽기·쓰기학습전략과 멘토링 - Reading & Writing Strategies and Mentoring
읽기에 어려움을 가진 학습자를 위한 전략 중심 교수법을 다룬다. 평가-중재-모니터링을 통합한 개별화 수업 설계의 실제를 다룬다. 읽기 영역에서 해독(decoding), 어휘, 이해전략, 글의 유형에 따른 읽기 전략 지도 등을 포함한다. 쓰기 영역에서 철자와 받아쓰기, 짧은 글쓰기와 글의 유형에 맞는 글쓰기, 그리고 요약하기, 글쓰기 구조 지도 등을 포함한다.

EDL 사회·과학 교과 학습전략과 멘토링 - Social Studies & Science Learning Strategies and Mentoring
다양한 배경과 학습 특성을 가진 학습자들이 내용 교과인 사회과 및 과학과 교과 영역에서 의미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략을 탐색하고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둔다. 특히 학습장애, 정서행동장애, 다문화 배경을 가진 학습자 등을 위한 교과 접근 전략, 시각자료 활용, 개념 지도, 프로젝트기반학습 등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EDL 수학 학습전략과 멘토링 - Mathematics Learning Strategies and Mentoring
학습장애학생, 다문화학생과 같이 학습지원이 필요한 학생을 대상으로 수학 교과 내 중재 전략을 중심으로 교수학습 설계를 학습한다. 교육과정 재구성 및 평가의 차별화도 함께 탐구한다.

EDL 학업 및 정서 코칭 - Academic and Emotional Coaching
다양한 학습자의 학업 성취와 정서적 안정을 지원하기 위한 코칭 이론과 실천 전략을 다룬다. 학습 동기 강화, 자기조절 전략, 스트레스 관리, 정서 조절 기법 등을 중심으로 학업 및 정서적 성장의 균형을 맞추는 방안을 탐색한다. 또한 실제 사례 분석과 코칭 실습을 통해 효과적인 개입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EDL 진로 및 진학 코칭 - Career Coaching
다양한 학습자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진로 및 진학 코칭 이론과 실천 전략을 탐구한다. 학습자의 사회·문화적 배경, 학습 스타일,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상담 및 지원 방안을 다룬다. 또한 실제 상담 사례 분석과 코칭 기법 실습을 통해 효과적인 진로 지도 역량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EDL 사회정서발달이론 - Socio-Emotional Development Theories
인간 발달 전 생애에 걸친 사회정서 발달 이론을 체계적으로 탐구한다. 애착이론, 정체성 이론, 사회인지 이론, 자기조절발달 이론 등을 기반으로 하여 학령기 아동의 사회정서 발달 과정을 분석한다. 특히 학교 환경에서의 정서 표현, 공감, 자기조절, 또래 관계형성, 갈등 해결 등의 요소가 어떻게 발달하고 학습될 수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교육자는 이를 통해 다양한 학습자의 사회정서 발달 수준을 이해하고, 교육적 개입을 설계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갖추게 된다.

EDL 청소년기 사회정서학습과 긍정적 발달 - Social-Emotional Learning and Positive Youth Development in Adolescenc
과목에서는 청소년기의 사회정서학습(SEL)과 긍정적 청소년 발달(PYD)을 통합적으로 탐구한다. 이를 통해 교사와 교육자가 학습자의 정서적·사회적 성장과 학업 성취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청소년이 자기이해, 감정조절, 공감, 관계 형성, 책임감 있는 의사결정을 통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SEL의 핵심 역량과 PYD의 강점 기반 접근법을 학습하고, 이를 학교 및 교육 환경에 적용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EDL 교과 연계 사회정서학습 - Curriculum-Integrated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학습자의 자기인식, 감정조절, 공감, 관계 형성, 책임있는 의사결정 능력을 교과 내용과 함께 배울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을 탐구한다. 국어, 도덕, 사회, 예술 등 감정이입과 서사 중심 교과 뿐 아니라 과학, 체육 등에서도 SEL을 융합할 수 있는 사례 중심 교수법을 다룬다. 학습자들은 역할극, 연극 대본 작성, 상황극, 감정일기 쓰기, 토론극 등의 활동을 통해 다양한 사회정서적 상황을 체험하며 자기 감정과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 정서적 안정 뿐 아니라 학습 몰입도 향상, 또래 갈등 해소, 학급문화 개선 등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긍정적 효과를 도모하는 수업을 설계할 수 있도록 한다.

EDL 문학 기반 사회 정서 학습 - Literature-Based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이 과목에서는 다양한 문학작품을 활용한 학습자의 긍정적 정서 및 사고 확장의 방법을 연구한다.

EDL 통합체육활동 지도 - Instruction in Integrated Physical Activities
비장애인 중심 체육활동 참여가 어려운 신체장애학생과 함께 하는 체육수업과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지도방안을 연구한다. 토요스포츠데이나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서 장애학생과 비장애 학생이 함께하는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한다.

EDL 사회 정서 조절 멘토링 - Mentoring for Social and Emotional Regulation
학습자의 정서 인식, 표현, 조절을 지원하는 멘토링 전략을 탐구하고 직접 멘토링을 제공한다. 정서조절 어려움으로 인해 학업 및 또래 관계에 도전 과제를 지닌 학습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관계 형성, 심리적 안전 제공, 공감적 피드백, 자기조절 기술 교육 등의 요소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교사-학생, 또래 멘토링, 지역사회 멘토링 등 다양한 유형의 멘토링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학교/지역사회에서 실행 가능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실행한다. 멘토링을 통해 사회정서 역량 강화 및 정서적 안정을 통한 전인적 발달 촉진을 목표로 한다.

EDL 다양한 학습자를 위한 지속가능한 생활기술 - Sustainable Life Skills for Diverse Learners
이 과목에서는 학습자의 다양성을 고려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생활기술을 통합적으로 탐구한다. 교육자가 다양한 생활문화를 가진 학습자의 생활 방식을 이해하고, 학습자의 식생활 및 의생활 관리, 주거환경 설계 및 가족관계 형성 등 가정생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을 적용한다. 개인의 다양성에 맞는 지속가능한 생활방식을 실천하여, 의식주 및 가족생활 전반에서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 역량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EDL 학생 행동 이해와 행동 지원 - Understanding Student Behavior and Behavioral Support
학교에서 학생들이 보이는 문제행동의 원인과 기능을 이해하고, 행동수정의 원리를 활용하여 문제행동이 아니라 학생들의 바람직한 행동, 수업 참여 행동을 증진시키는 전략을 다룬다.

EDL 세계시민과 지속가능한 삶의 실천 - Global Citizen and Sustainable Living Practices
세계시민과 지속가능한 삶의 실천은 일상 속에서 지속가능성을 실천하는 방법을 탐구하고, 세계 시민으로서의 책임과 역할을 배운다. 환경, 경제,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생활 방식을 이해하며, 지역과 세계가 연결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창의적인 실천 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공동체 의식을 함양한다.

EDL 긍정적 행동지원과 기능적행동분석 - Positive Behavioral Support and Functional Behavior Analysis
일반 학교에서 문제행동을 보이는 학생에 대한 기능적 행동평가(Functional Behavior Assessment)와 행동중재(Behavior Intervention Plan) 전략을 중심으로 실제적인 행동지원 계획 수립 및 적용을 다룬다.

EDL 스포츠 심리기술과 체력단련 - Sport Psychology Skills and Physical Training
학습을 넘어 학교생활의 어려움은 일상생활에서의 부적응적 삶으로 이어지며 삶 전체를 무기력하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정서적-심리적-신체적 문제들이 발생하기 전에 교육적으로 예방하고, 이들이 건강하고 슬기롭게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역량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다양한 학생들로 구성된 학급을 이해하고, 학급 내 학생 개개인의 다양성을 이해·지도할 수 역량은 학생들을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적합한 교수방법 및 동기부여 전략들을 적재적소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 능력이다.

EDL 행동지원 멘토링 - Behavioral Support Mentoring
학교 생활에서 다양한 행동문제를 겪는 학생들을 이해하고 지원하기 위한 멘토링 전략을 탐구하고 실행한다. 멘토링 관계를 기반으로 학생의 정서·행동 특성을 파악하고, 긍정적 상호작용을 통해 행동조절 능력과 자기통제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학급 내에서 발생하는 부적응 행동이나 사회적 위축, 공격성, 회피 행동 등의 유형을 중심으로 멘토링 관계 형성, 일상 관찰, 정서적 피드백, 자기조절 기술 학습, 활동 기반 코칭 등의 실제적 지원 전략을 계획하고 멘토링을 통해 실행한다. 이를 통해 행동 중재의 실천성과 관계성 중심 중재를 함께 실현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운다.

EDL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 - Culturally Responsive Pedagogy
이 과목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학습자들의 경험과 정체성을 반영하는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Culturally Relevant Pedagogy)의 이론과 실제를 탐구한다.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의 다양한 문화적 배경이 인지적 과정과 학습 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학습자의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반영한 교수 설계 및 수업 전략을 개발하는 역량을 기른다. 문화적 다양성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교육의 형평성과 포용성을 실현하는 교사로서의 전문성과 실천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EDL 다문화 텍스트를 활용한 교수법과 연구 - Teaching Methods and Research Using Multicultural Texts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습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문화적 감수성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내용으로는 다문화 텍스트의 선정 및 분석, 문화 간 차이에 대한 이해, 효과적인 교수 전략 개발 및 적용, 그리고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등을 포함한다.

EDL 다문화화하는 교실과 역사교육 - History Education in Multicultural Classrooms
다문화 사회와 다국적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한 역사교육의 새로운 접근을 제시한다. 이주주배경을 가진 학생들의 증가를 고려하여, 학생들이 다양한 문화적 관점을 통해 역사적 사건과 인물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포용적이고 글로벌한 역사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며, 역사교육이 다문화적 가치를 어떻게 반영할 수 있을지 탐구한다.

EDL 다문화 사회와 영어교육 - English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ies
다문화 사회의 특성을 이해하고, 영어 교육을 통해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며 소통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문화 사회의 이해, 영어 교육과 문화 간 소통, 다문화 교육 교수법, 그리고 영어 교육 정책 및 실제 등에 대한 실제적 이해를 제고한다.

EDL 다문화 사회에서의 스포츠 - Sports in Multicultural Societies
본 과목에서는 국내외 엘리트스포츠에서 발견되는 다양성 탐구, 다문화 가정 아동의 팀스포츠 참여 경험 탐구, 성정체성, 장애, 인종이나 국적 등 다양한 스포츠 내 차별 및 융합의 효과성 탐구한다.

EDL 다문화 프로젝트 - Multicultural Project
학생들이 실제 교육현장과 지역사회 내에서 다문화 감수성을 높이고, 인식 개선을 실천하는 다양한 프로젝트를 직접 기획·실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업에서는편견 해소, 문화 간 이해 증진, 언어 다양성 존중, 이주 배경 학생 지원, 다문화 자료 개발, 공동체 연계 프로그램 기획등을 주제로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각 팀은 주제를 선정하고, 조사, 인터뷰, 캠페인, 전시, 수업 설계 등 다양한 형태의 산출물을 제작한다. 학습자는 이를 통해 다문화 사회에서의 교육적 책임, 사회정의적 관점, 문화 간 협력의 실천적 방법을 이해하며, 실제 교육현장에서 실행 가능한 교수전략과 수업 자료를 설계하고 적용해보는 경험을 갖게 된다. 다문화교육 관련 국내외 전략 사례도 함께 분석하여 이론과 실제의 통합을 도모한다.

EDL 초기(Early) 읽기·쓰기 기초문해력 교수 - Early Literacy Instruction
학령기 초기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초문해력(reading and writing lietracy) 특성을 이해하고 지도 전략을 중심으로 한다. 음운 인식, 음절 해독, 단어 인식, 유창성, 읽기 이해, 기초 쓰기 등 문해력 발달의 주요 하위 요소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기반한 교수-학습-평가 전략을 다룬다. AI 기반 문해력 평가 도구, 디지털 리터러시 자료, 다감각적 학습도구 활용 등 최신 교수기법을 현장 중심으로 통합한다.

EDL 초기 읽기·쓰기 능력의 진단 및 지도 - Assessment and Guidance of Early Reading and Writing Skills
이 과목은 초기 읽기, 쓰기 능력 진단에 필요한 이론적 지식과 실질적인 평가 방법을 학습하고,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효과적인 지도 전략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읽기, 쓰기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의 초기 문해 발달 단계를 이해하고, 이들을 위한 다양한 진단 도구 및 평가 기준, 개별화된 지도 계획 수립 및 적용하는 방법을 배운다.

EDL 디지털 리터러시와 AI - Digital Literacy and AI
이 과목은 디지털 시대에 요구되는 핵심 역량인 디지털 리터러시와 인공지능(AI)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방법을 탐구한다. 다양한 디지털 도구와 AI 기반 기술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과 정보 활용 능력을 길러주는 교수 전략을 다루고, 기술을 통해 학습자의 다양성과 개별적인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교육을 실현하는 방안도 함께 모색한다. 특히, 기술이 교육 현장에서 다양성과 형평성을 어떻게 촉진하거나 제한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며, 포용적이고 윤리적인 디지털 시민성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 실천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EDL 문학텍스트 활용 기초학력 교수 - Teaching Foundational Literacy through Literature
문학 텍스트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읽기, 쓰기, 이해력 등 기초 학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교수법을 연구하고 실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학 텍스트 선정 및 분석, 기초 학력 진단 및 평가, 문학 기반 교수 전략 개발 및 적용, 그리고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며, 이를 통해 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기초 학력 교육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강화한다.

EDL 다양한 학습자를 위한 기초 수리력 지도 - Teaching foundational numeracy for diverse learners
초·중등교육에서 다양한 학습자(다문화,특수교육,학습장애 등)의 수리력(numeracy)에 대한 개념과 중요성에 대해 학습하여,다양한 학습자의 기초 수리력 부족 문제를 진단하고,수리력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평가 전략,교육기술(AI및 디지털 도구)활용 방안을 탐색하고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논의한다.

EDL 디지털 미디어와 역사 리터러시 - Digital Media and Historical Literacy
유튜브와 AI 등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학습자가 역사 지식과 정보를 읽고 수용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알고 있는 역사적 지식을 적절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디지털 매체로 표현하는 방안을 논의한다.

EDU 002 연구지도(4학기) [2] 
지도교수와 함께 자신이 진행할 연구의 방향성을 확립하고, 다양한 방법론에 대해 학습한다.

EDU 002 연구지도(5학기) [2] 
지도교수와 함께 자신이 진행할 연구의 방향성을 확립하고, 다양한 방법론에 대해 학습한다.